필수 아미노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수 아미노산은 인체에서 합성되지 않아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는 아미노산을 의미한다. 사람에게는 히스티딘, 아이소류신, 류신,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트립토판, 발린의 9가지 아미노산이 필수적이며, 아르기닌, 시스테인, 글루타민, 글리신, 프롤린, 티로신은 조건부 필수 아미노산으로 특정 상황에서 섭취가 필요하다. 필수 아미노산은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며, 결핍 시 성장 장애, 면역력 저하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식품의 단백질 질은 필수 아미노산의 균형에 의해 결정되며, 완전 단백질은 모든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일일 권장 섭취량은 개인의 체중, 연령,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르며,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농무부(USDA)에서 제시하는 기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수 아미노산 - 발린
발린은 헤르만 에밀 피셔가 카세인에서 처음 분리한 필수 아미노산으로, 체내 합성이 불가능하여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며, 에너지 대사, 인슐린 저항성, 조혈줄기세포 자가 재생 등에 관여하고 대사 과정 손상 시 특정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필수 아미노산 - 히스티딘
히스티딘은 이미다졸 곁사슬을 가진 필수 아미노산으로, 효소 촉매 반응, 금속 이온과의 결합, 다른 생물학적 활성 아민으로의 전환 등 다양한 생물학적 역할을 수행하며, 성인의 경우 체중 1kg당 14mg이 권장된다. - 질소 대사 - 요소 (화학)
요소는 화학식 CO(NH₂)₂을 가지는 무색무취의 결정성 화합물로, 포유류와 양서류의 소변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비료, 목재 패널 제조, 배기가스 저감, 단백질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1828년 뵐러에 의해 무기물에서 합성된 최초의 유기 화합물이다. - 질소 대사 - 뿌리혹
뿌리혹은 콩과 식물의 뿌리에 형성되어 질소 고정에 관여하는 구조로, 레그헤모글로빈을 통해 미호기성 환경을 조성하며 토양의 질소 영양분 공급에 기여한다. - 아미노산 - 시스테인
시스테인은 설프하이드릴기를 가진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단백질 구성 성분이며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하고 식품, 제약, 퍼스널 케어 산업에서 활용된다. - 아미노산 - 발린
발린은 헤르만 에밀 피셔가 카세인에서 처음 분리한 필수 아미노산으로, 체내 합성이 불가능하여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며, 에너지 대사, 인슐린 저항성, 조혈줄기세포 자가 재생 등에 관여하고 대사 과정 손상 시 특정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필수 아미노산 | |
---|---|
일반 정보 | |
명칭 | 필수 아미노산 |
영어 명칭 | Essential amino acid |
일본어 명칭 | 必須アミノ酸 (Hissu Aminosan) |
추가 설명 | 동물은 스스로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음식물로부터 섭취해야 하는 아미노산이다. |
종류 | |
필수 아미노산 종류 | 페닐알라닌 (Peneallallanin) 발린 (Ballin) 트레오닌/쓰레오닌 (Teureonin/Sseureonin) 트립토판 (Teuripputeopan) 메티오닌 (Metionin) 류신 (Ryusin) 아이소류신/이소류신 (Aisoryusin/Isoryusin) 리신/라이신 (Risin/Raisin) 히스티딘 (Hiseutidin) |
조건부 필수 아미노산 | 아르기닌 (Areuginin) 시스테인 (Siseutein) 글루타민 (Geullutamin) 티로신 (Tirosin) 글리신 (Geullisin) 프롤린 (Peurollin) |
설명 | 어떤 경우에는, 영양학적으로 비필수적인 아미노산이 특정 집단이나 개인에게는 필수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조건부 필수 아미노산'이라는 용어가 있다. |
역할 | |
주요 역할 | 단백질 합성의 재료 |
추가 역할 | 대사 과정에 관여 신경전달물질 또는 호르몬 전구체 역할 |
기타 | |
제한 아미노산 | 제한 아미노산 |
참고 문헌 | Biochemistry, Essential Amino Acids Limiting Amino Acids |
2. 사람에서의 필수 아미노산
모든 생명체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20가지 아미노산(셀레노시스테인은 제외) 중, 사람에게는 히스티딘, 아이소류신, 류신, 라이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트립토판, 발린의 9가지 아미노산을 합성할 수 없다.[8] 이들은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하므로 필수 아미노산이라고 부른다.
아르기닌, 시스테인, 글루타민, 글리신, 프롤린, 티로신은 조건부 필수 아미노산[8]으로, 신생아나 간 질환 환자처럼 특정 집단에서는 충분히 합성되지 않아 음식으로 섭취해야 한다.[9][10] 예를 들어, 성인은 요소 회로를 통해 아르기닌을 충분히 합성하지만, 성장기 어린이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진핵생물은 다른 기질로부터 일부 아미노산을 합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는 아미노산 중 일부만이 필수 영양소이다.
필수 아미노산 | 조건부 필수 아미노산[5][6] | 비필수 아미노산 |
---|---|---|
히스티딘 (H) | 아르기닌 (R) | 알라닌 (A) |
아이소류신 (I) | 시스테인 (C) | 아스파르트산 (D) |
류신 (L) | 글루타민 (Q) | 아스파라긴 (N) |
리신 (K) | 글리신 (G) | 글루탐산 (E) |
메티오닌 (M) | 프롤린 (P) | 세린 (S) |
페닐알라닌 (F) | 티로신 (Y) | 셀레노시스테인 (U) |
트레오닌 (T) | ||
트립토판 (W) | ||
발린 (V) |
히스티딘은 인체 내에서 생합성이 느리기 때문에,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보건기구(WHO)는 1985년에 이를 필수 아미노산으로 규정하고 있다.[27] 또한, 빠르게 성장하는 유아의 경우 생합성만으로는 부족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식사를 통해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르기닌도 체내에서 합성되지만, 성장이 빠른 유아기에는 체내 합성량이 충분하지 않아 부족하기 쉽기 때문에, 아르기닌과 히스티딘은 준필수 아미노산이라고 불린다.[28] 같은 이유로 시스테인과 티로신도 준필수 아미노산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있다.
3. 필수 아미노산의 생합성 및 상호 전환
진핵생물은 다른 기질로부터 일부 아미노산을 합성할 수 있다. 필수 아미노산과 비필수 아미노산의 구분은 다소 불분명한데, 어떤 아미노산은 다른 아미노산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황 함유 아미노산인 메티오닌과 호모시스테인은 서로 전환될 수 있지만, 둘 다 사람에서 신생합성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시스테인은 호모시스테인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지만 자체적으로 합성할 수는 없다. 따라서 편의상 황 함유 아미노산은 방향족 아미노산 쌍인 페닐알라닌 및 티로신과 마찬가지로 영양학적으로 동등한 아미노산의 단일 풀로 간주되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요소 회로에 의해 상호전환이 가능한 아르기닌, 오르니틴, 시트룰린은 단일 풀로 간주된다.[35][36]
비필수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생성된다. 비필수 아미노산 합성 경로는 기본적인 대사 경로에서 유래한다. 글루탐산 탈수소효소는 α-케토글루타르산의 환원적 아미노화를 촉매하여 글루탐산을 생성한다. 대부분의 아미노산 합성에는 전이반응이 일어난다. 이 단계에서 아미노산의 키랄성이 결정된다. 알라닌과 아스파르트산은 각각 피루브산과 옥살로아세트산의 전이반응에 의해 합성된다. 글루타민은 NH4+와 글루탐산으로부터 합성되고, 아스파라긴도 유사하게 합성된다. 프롤린과 아르기닌은 모두 글루탐산에서 유래한다. 해당과정에서 유래하는 3-포스포글리세르산으로부터 생성되는 세린은 글리신과 시스테인의 전구체이다. 티로신은 필수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의 수산화 반응에 의해 합성된다.
히스티딘의 생합성은 포스포리보실 ATP로부터 4단계 반응을 거쳐 이미다졸글리세롤인산이 되고, 다시 5단계 반응을 거쳐 히스티딘이 되는 경로이지만, 이 경로에서는 글루타민을 중간 원료로 소비하며, 히스티딘 1몰을 생성하기 위해 42몰의 ATP를 소비한다. 따라서 히스티딘은 인체 내에서 생합성이 느리기 때문에,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보건기구(WHO)는 1985년에 이를 필수 아미노산으로 규정하고 있다.[27] 또한, 빠르게 성장하는 유아의 경우 생합성만으로는 부족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식사를 통해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한 아미노산이다.
아르기닌도 체내에서 합성되며, 성인의 경우 비필수 아미노산이지만, 성장이 빠른 유아기에는 체내 합성량이 충분하지 않아 부족하기 쉽기 때문에, 아르기닌과 히스티딘은 준필수 아미노산이라고 불린다.[28] 같은 이유로 시스테인과 티로신도 준필수 아미노산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있다.
4. 일일 권장 섭취량
필수 아미노산의 일일 권장 섭취량은 지난 20년간 여러 차례 수정되어 왔기 때문에 정확한 섭취량을 추정하기 어렵다.[39][38] 다음은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에서 현재 사용 중인 성인의 필수 아미노산 일일 권장량이다.[39][38]
아미노산 | 체중 1 kg당 mg (WHO) | 체중 1 kg당 mg (미국) |
---|---|---|
히스티딘 | 10 | 14 |
아이소류신 | 20 | 19 |
류신 | 39 | 42 |
리신 | 30 | 38 |
메티오닌 + 시스테인 | 14.5 | 19 |
페닐알라닌 + 티로신 | 25 | 33 |
트레오닌 | 15 | 20 |
트립토판 | 4 | 5 |
발린 | 26 | 24 |
3세 이상의 어린이는 성인보다 10~20% 더 많은 양을 섭취해야 하며, 영유아는 생후 첫 해에 최대 150% 더 많이 섭취해야 할 수 있다.[39][40] 시스테인(또는 황 함유 아미노산), 티로신(또는 방향족 아미노산) 및 아르기닌은 유아와 성장기 어린이에게 항상 필요하다.[39][40]
WHO에서 제시하는 성인의 체중에 따른 1일 필수 아미노산 권장 섭취량은 다음과 같다.[29]
필수 아미노산 | 체중 40kg당 (mg) | 체중 50kg당 (mg) | 체중 60kg당 (mg) | 체중 70kg당 (mg) | 체중 100kg당 (mg) |
---|---|---|---|---|---|
이소류신 | 800 | 1000 | 1200 | 1400 | 2000 |
류신 | 1560 | 1950 | 2340 | 2730 | 3900 |
리신 | 1200 | 1500 | 1800 | 2100 | 3000 |
메티오닌 + 시스테인 | 600 | 750 | 900 | 1050 | 1500 |
페닐알라닌 + 티로신 | 1000 | 1250 | 1500 | 1750 | 2500 |
트레오닌 | 600 | 750 | 900 | 1050 | 1500 |
트립토판 | 160 | 200 | 240 | 280 | 400 |
발린 | 1040 | 1300 | 1560 | 1820 | 2600 |
히스티딘 | 400 | 500 | 600 | 700 | 1000 |
5. 단백질 공급원과 아미노산 조성
완전 단백질은 사람에게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을 균형 있게 포함하고 있으며, 천연 동물성 식품은 모든 필수 아미노산을 제공한다.[42] 퀴노아와 같이 일부 식물성 식품에서도 거의 완전한 단백질을 찾을 수 있다.[43]
식품에서 순단백질 이용률은 제한 아미노산(해당 식품에서 가장 적은 양으로 발견되는 필수 아미노산)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필수 아미노산의 분포가 다른 식품들을 혼합하는 것이 좋다.
역사적으로 아미노산 요구량은 식이 질소 섭취량과 배설되는 질소의 균형을 계산하여 결정되었다. 섭취한 질소보다 배설되는 질소가 많으면 양성 균형, 반대로 배설되는 질소가 섭취한 질소보다 많으면 음성 질소 균형이 발생한다. 일리노이 대학교 대학원생들은 인공 식단을 통해 질소 균형을 연구하여 필수 아미노산을 판별했다.[25][17]
현대 기술은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식품의 실제 아미노산 함량을 결정한다. 미국 농무부(USDA)는 이 기술을 사용하여 7793개 식품의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고 2018년에 데이터베이스를 공개했다.[18]
제한 아미노산은 인체의 요구량에 따라 달라지며, 세계보건기구(WHO)[13]와 미국 농무부(USDA)[11]에서 제시하는 두 가지 인체 요구량 기준이 있다.
5. 1. 단백질 질 평가
낮은 비율의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 식품은 신체가 얻은 아미노산을 탈아미노화하여 단백질을 지방과 탄수화물로 전환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단백질 등가물의 열악한 공급원이다. 따라서 단백질로 전환된 아미노산 대 공급된 아미노산의 질량비인 순단백질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필수 아미노산의 균형이 필요하다.[41]완전 단백질은 사람을 위한 균형 잡힌 필수 아미노산 세트를 포함하고 있다. 천연 동물 공급원은 모든 필수 아미노산을 제공한다.[42] 퀴노아와 같은 일부 식물 공급원에서도 거의 완전한 단백질이 발견된다.[43]
식품에서 순단백질 이용률은 제한 아미노산(해당 식품에서 가장 적은 양으로 발견되는 필수 아미노산)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신체의 필수 아미노산 회수에 의해 다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필수 아미노산의 분포가 다른 식품들을 혼합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탈아미노화를 통한 질소의 손실을 제한하고 전체 순단백질 이용률을 증가시킨다.[41]
아미노산 분포 프로필은 동물성 식품이 식물성 식품보다 최적화되어 있다.[44][45] 그러나 합리적으로 다양한 식단이 유지되는 한, 완전 단백질을 함유한 식물성 식품을 섭취할 필요는 없다.[46] 다양한 식물성 식품의 조합은 완전 단백질 프로필을 제공할 수 있다. 옥수수, 콩 또는 콩, 쌀과 같은 특정 전통적인 식품의 조합에는 사람에게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이 적당량 포함되어 있다.[47] 미국 영양 및 식이요법 학회의 공식 입장은 하루 중에 섭취하는 다양한 식물성 식품의 적절한 조합으로부터 얻은 단백질이 칼로리 요구 조건을 충족할 시 영양적으로 적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46]
단백질의 "질" 또는 "가치"를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다. 측정값에는 생물가, 순단백질 이용률, 단백질 효율, 단백질 소화율 보정 아미노산 점수, 완전 단백질과 같은 개념이 포함된다. 이러한 개념은 축산업에서 중요한데, 동물 사료에 한 가지 이상의 필수 아미노산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면 생장과 사료 전환율에 제한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순단백질 이용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사료를 함께 공급하거나 개별 아미노산(메티오닌, 리신, 트레오닌, 트립토판)을 사료에 첨가할 수 있다.
필수 아미노산은 모든 종류를 균형 있게 섭취해야만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아미노산의 통”이라는 비유로 설명되곤 한다. 9종류의 필수 아미노산 중 가장 함량이 적은 아미노산을 가장 낮은 통의 널빤지에 비유하여, 아무리 가득 채우려고 해도 거기서 물이 새어 나간다는 것, 즉 아미노산의 함량 균형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필수 아미노산을 균형 있게 함유한 식품일수록 점수가 높다고 표현된다. 식품이 아닌 식사라는 관점에서 보면 하루 동안 섭취하는 식품 속 아미노산의 총량에서 균형이 맞춰지면 된다. 곡물과 콩은 단독으로는 균형이 좋지 않지만, 곡물은 트립토판과 메티오닌이 많고 콩은 이소류신과 리신이 많아 서로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조합을 통해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일본에서 사용되어 온 필수 아미노산의 균형을 나타내는 점수는 세 가지가 있다. 1957년의 단백질 점수(프로테인 스코어)(프로테인スコア), 1973년판 아미노산 점수, 1985년판 아미노산 점수이다.
단백질 점수(프로테인 스코어)는 1957년에 FAO가 단백질 필요량의 국제적 기준으로 처음 발표한 것으로, 여러 차례 수정되기 이전의 오래된 점수이다. 세계보건기구(WHO)와 FAO가 1973년에 발표한 아미노산 점수는 1982년(쇼와 57년) 『일본 식품 표준 성분표』 제4차 개정[31]에서 채택되었다. 1985년판 아미노산 점수는 WHO/FAO/UNU 세 기관이 발표한 것으로, 1989년 FAO/WHO 합동 전문가 회의에서 타당하다고 인정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32] 2000년의 『일본 식품 표준 성분표』 제5차 개정판도 이것을 채택하고 있다. 1973년판과 1985년판의 큰 차이점은 대두의 아미노산 점수를 전자는 86, 후자는 100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의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는 소화 흡수율을 더 고려한 PDCAAS가 채택되고 있다.
5. 2. 칼로리당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의 비율이 낮은 식품은 섭취한 아미노산이 탈아미노화되어 단백질이 지방과 탄수화물로 전환되기 쉽다. 따라서 순단백질 이용률을 높이려면 필수 아미노산의 균형이 중요하다.[41]완전 단백질은 인체에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을 균형 있게 포함한다. 천연 동물성 식품은 모든 필수 아미노산을 제공하며,[42] 퀴노아와 같은 일부 식물성 식품도 거의 완전한 단백질을 함유한다.[43]
식품의 순단백질 이용률은 제한 아미노산(해당 식품에 가장 적게 들어 있는 필수 아미노산)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신체의 필수 아미노산 회수 능력에도 কিছুটা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필수 아미노산 구성이 다른 식품들을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 이는 탈아미노화를 통한 질소 손실을 줄이고 전체적인 순단백질 이용률을 높인다.[41]
동물성 식품은 식물성 식품보다 아미노산 구성이 더 최적화되어 있다.[44][45] 그러나 다양한 식단을 유지한다면 완전 단백질을 함유한 식물성 식품을 굳이 섭취할 필요는 없다.[46] 다양한 식물성 식품을 조합하면 완전 단백질 구성을 얻을 수 있다. 옥수수와 콩, 콩과 쌀처럼 전통적인 식품 조합은 인체에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을 적절히 제공한다.[47] 미국 영양 및 식이요법 학회는 하루 동안 섭취하는 다양한 식물성 식품의 조합으로 칼로리 요구량을 충족하면 영양학적으로 충분하다고 발표했다.[46]
식품의 단백질 함량은 보통 1회 제공량당 단백질로 표시되며, 칼로리당 단백질로 표시되는 경우는 드물다. 예를 들어 미국 농무부는 큰 계란 하나(50g)에 단백질 6g이 들어 있다고 표시하며, 칼로리당 84mg(총 71칼로리)으로 표시하지 않는다.[48] 반면, 생 브로콜리 1회 제공량(100g)에는 단백질 2.8g(칼로리당 82mg, 총 34칼로리)이 들어 있다.[49] 계란은 100g당 단백질 12.5g을 함유하지만, 칼로리당 단백질은 브로콜리보다 4mg 더 많다.[50] 건강한 단백질 섭취를 위해서는 하루에 3kg 이상의 브로콜리를 섭취해야 하며, 충분한 칼로리 섭취를 위해서는 거의 6kg을 섭취해야 한다.[49] 성인은 하루 2,000칼로리의 10~35%를 단백질로 섭취하는 것이 권장된다.[51]
필수 아미노산은 균형 있게 섭취해야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아미노산의 통"이라는 비유로 설명되곤 한다. 9가지 필수 아미노산 중 가장 적게 함유된 아미노산을 가장 낮은 통 널빤지에 비유하여, 다른 아미노산이 아무리 많아도 물이 새는 것처럼 아미노산 균형이 깨진다는 의미이다. 필수 아미노산이 균형 있게 들어 있는 식품일수록 점수가 높다. 하루 동안 섭취하는 식품 속 아미노산 총량의 균형이 중요하다. 곡물과 콩은 단독으로는 아미노산 균형이 좋지 않지만, 곡물에는 트립토판과 메티오닌이 많고 콩에는 이소류신과 라이신이 많아 서로 보완할 수 있다.
6. 필수 아미노산 결핍의 영향
필수 아미노산 중 하나라도 필요한 양만큼 이용할 수 없으면, 다른 아미노산이 충분히 있더라도 단백질 합성이 저해된다.[34] 단백질 결핍은 신체의 모든 기관과 많은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영유아의 뇌 발달에 영향을 주고, 면역계 유지를 억제하여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며, 장 점막 기능 및 투과성에 영향을 주어 흡수를 감소시키고 전신 질환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키고, 콩팥 기능에도 영향을 미친다.[34] 단백질 결핍의 신체적 징후로는 부종, 영유아의 성장장애, 근육 조직 불량, 윤기 없는 피부, 얇고 연약한 머리카락 등이 있다. 단백질 결핍을 반영하는 생화학적 변화에는 혈청 알부민 감소와 혈청 트랜스페린 감소가 포함된다.[34]
필수 아미노산 결핍은 마라스무스 또는 콰시오커로 나타날 수 있는 단백질 열량 영양장애와 구별되어야 한다. 콰시오커는 한때 충분한 칼로리를 섭취하는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순수 단백질 결핍(슈가 베이비 증후군)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 이론은 콰시오커와 대조적으로 마라스무스가 발병하는 어린이의 식단에 차이가 없다는 발견으로 인해 도전을 받게 되었다.[55] 미국 농무부에서 유지 관리하는 일일 섭취 권장량에서 필수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이 결핍되면 단백질 열량 영양장애로 설명한다.[34]
사람의 식단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은 윌리엄 커밍 로즈가 이끈 일련의 실험들을 통해 확립되었다. 실험은 건강한 남자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들의 식단은 옥수수 녹말, 수크로스, 단백질이 없는 유지방, 옥수수 기름, 무기염류, 알려진 비타민, 페퍼민트 기름으로 맛을 낸 간 추출물로 만든 큰 갈색 "사탕"(알려지지 않은 비타민 공급용), 고도로 정제된 개별 아미노산들의 혼합물로 구성되었다. 주요 결과 측정은 질소평형이었다. 로즈는 피험자들에게 필수 아미노산이 결핍될 때마다 신경질, 피로 및 현기증 증상이 다소간 발생한다고 언급했다.[54]
7. 동물에서의 필수 아미노산
20세기 초부터 과학자들은 쥐가 옥수수에서 추출한 제인이라는 단백질만으로는 생존할 수 없지만, 우유에서 추출한 카제인을 섭취하면 회복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것은 윌리엄 커밍 로즈가 필수 아미노산인 트레오닌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52][23] 쥐의 식단 조작을 통해 로즈는 리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류신, 아이소류신, 메티오닌, 발린, 아르기닌, 트레오닌의 10가지 아미노산이 쥐에게 필수적이라는 것을 알아냈다.[52] 로즈의 후기 연구에서는 8가지 아미노산이 성인에게 필수적이며 히스티딘은 유아에게도 필수적임을 밝혀냈다.[53][24] 이후 장기간의 연구를 통해 히스티딘이 성인에게도 필수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24]
동물의 종류에 따라 필수 아미노산의 종류는 다르다.
동물 | 필수 아미노산 |
---|---|
고양이 | 사람의 필수 아미노산 9종 + 타우린 |
성체 쥐나 개 | 사람의 필수 아미노산 9종 + 아르기닌 |
닭 | 사람의 필수 아미노산 9종 + 글리신 |
물고기 | 사람의 필수 아미노산 9종 + 아르기닌 + 타우린 |
참조
[1]
저널
Adult amino acid requirements: the case for a major revision in current recommendations
[2]
기술 보고서
Dietary Reference Intakes: The Essential Guide to Nutrient Requirements
2006
[3]
기술 보고서
Biochemistry, Essential Amino Acids
https://www.ncbi.nlm[...]
2022-03-18
[4]
웹사이트
Limiting Amino Acids
https://lod.nal.usda[...]
National Agricultural Library
2012-11-30
[5]
저널
What are the essential elements needed for the determination of amino acid requirements in humans?
2004-06-01
[6]
저널
Dispensable and indispensable amino acids for humans
2000-07-01
[7]
웹사이트
Newsletter 2009, Biochemical Nomenclature Committee of IUPAC and NC-IUBMB
http://www.chem.qmul[...]
[8]
웹사이트
PROTEIN AND AMINO ACID REQUIREMENTS IN HUMAN NUTRITION
https://apps.who.int[...]
2007
[9]
저널
What are the essential elements needed for the determination of amino acid requirements in humans?
http://jn.nutrition.[...]
2004-06-01
[10]
저널
Dispensable and indispensable amino acids for humans
http://jn.nutrition.[...]
2000-07-01
[11]
서적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s,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2]
웹사이트
Publication card {{!}} FAO {{!}}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https://www.fao.org/[...]
2023-03-06
[13]
서적
Protein and amino acid requirements in human nutrition: report of a joint FAO/WHO/UNU expert consultation
https://apps.who.int[...]
WHO Press
[14]
저널
Amino acid metabolism in pediatric patients
[15]
웹사이트
Methionine and Cysteine metabolism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PubChem
2022-05-18
[16]
웹사이트
Phenylalanine and Tyrosine Metabolism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PubChem
2022-05-18
[17]
서적
Biochemistry, a Functional Approach
W. B. Saunders Company
1979
[18]
웹사이트
FoodData Central Standard Reference (SR) Legacy Foods
https://fdc.nal.usd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19-04
[19]
서적
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08
[20]
웹사이트
Broccoli, raw: nutritional value and analysis
https://www.nutritio[...]
[21]
웹사이트
Egg, poached, cooked, whole: nutritional value and analysis
https://www.nutritio[...]
[22]
웹사이트
Web MD Protein: Are You Getting Enough?
http://www.webmd.com[...]
webmd.com
2014-09-05
[23]
저널
The amino acid requirements of man. II. The role of threonine and histidine
[24]
저널
Evidence that histidine is an essential amino acid in normal and chronically uremic man.
1975-05
[25]
저널
The amino acid requirements of man. III. The role of isoleucine; additional evidence concerning histidine
http://www.jbc.org/c[...]
[26]
저널
Oedematous malnutrition
[27]
보고서
対象外物質評価書 ヒスチジン
https://www.fsc.go.j[...]
食品安全委員会肥料・飼料等専門調査会
2012-02
[28]
저널
アミノ酸とゲノム遺伝子の変容
https://doi.org/10.4[...]
[29]
웹사이트
PROTEIN AND AMINO ACID REQUIREMENTS IN HUMAN NUTRITION
http://whqlibdoc.who[...]
WHO Press
2007
[30]
웹사이트
http://www.nal.usda.[...]
[31]
문서
「4回目の改訂」の意味。改訂回数を示す漢数字1文字と改訂を示す「訂」の文字を合わせた二字熟語としての表現によるこの短縮形が正式な業務用語(より狭義では行政用語)として使用されている。以下五訂なども同様である。
[32]
서적
たんぱく質の品質評価 : FAO/WHO合同専門家協議報告
国際食糧農業協会
[33]
저널
Adult amino acid requirements: the case for a major revision in current recommendations
http://jn.nutrition.[...]
[34]
웹사이트
Dietary Reference Intakes: The Essential Guide to Nutrient Requirements
http://fnic.nal.usda[...]
Institute of Medicine's Food and Nutrition Board. usda.gov
[35]
저널
What are the essential elements needed for the determination of amino acid requirements in humans?
2004-06-01
[36]
저널
Dispensable and indispensable amino acids for humans
2000-07-01
[37]
웹사이트
Newsletter 2009, Biochemical Nomenclature Committee of IUPAC and NC-IUBMB
http://www.chem.qmul[...]
2012-07-16
[38]
서적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s,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9]
웹사이트
PROTEIN AND AMINO ACID REQUIREMENTS IN HUMAN NUTRITION
http://whqlibdoc.who[...]
WHO Press
[40]
저널
Amino acid metabolism in pediatric patients
[41]
서적
Biochemistry, a Functional Approach
[42]
웹사이트
Nutrition for Everyone: Basics: Protein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05-15
[43]
웹사이트
http://ntrs.nasa.gov[...]
2022-03-01
[44]
저널
Dietary Protein and Amino Acids in Vegetarian Diets—A Review
2019-11-04
[45]
저널
VProtein: Identifying Optimal Amino Acid Complements from Plant-Based Foods
[46]
저널
Position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Vegetarian Diets
http://jandonline.or[...]
2016-12-01
[47]
웹사이트
Essential Amino Acids
http://hyperphysics.[...]
[48]
서적
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08
[49]
웹사이트
Broccoli, raw: nutritional value and analysis
https://www.nutritio[...]
2019-11-04
[50]
웹사이트
Egg, poached, cooked, whole: nutritional value and analysis
https://www.nutritio[...]
2019-11-04
[51]
웹사이트
Web MD Protein: Are You Getting Enough?
http://www.webmd.com[...]
webmd.com
2014-09-05
[52]
저널
The amino acid requirements of man. II. The role of threonine and histidine
[53]
저널
Evidence that histidine is an essential amino acid in normal and chronically uremic man.
1975-05-01
[54]
저널
The amino acid requirements of man. III. The role of isoleucine; additional evidence concerning histidine
http://www.jbc.org/c[...]
2012-12-15
[55]
저널
Oedematous malnutri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